Pure Dhamma 공부/포스트 번역

주요 담마 개념 2-7_닙바나는 존재하지만, 이 세상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1)

빠띠고사 호잔 2018. 9. 28. 08:40

닙바나는 존재하지만, 이 세상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1)

 

원문(첨부파일) : Key Dhamma Concepts 카테고리의 Nibbāna “Exists”, but Not in This World’ 포스트

- September 2, 2016; April 17, 2017 업데이트

 

1. 닙바-(Nibbāna, 열반)에 대한 오해는 닙바-나의 진정한 의미가 수백 년 동안 감추어져 있었기 때문에 일어납니다. 이 시리즈(열반 시리즈)의 이전 포스트에서는 닙바-(Nibbāna)가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의문은 아라한이 죽으면 어떻게 될까?”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아라한이 죽으면 이 31영역 세상의 어디에도 재탄생하지 않습니다. 이것을 빠리닙빠-(PariNibbāna, ‘Pari + Nibbāna’, 반열반, 완전한 열반)라고 합니다.

* 빠리닙빠-(PariNibbāna)에 들 때까지, 아라한은 보통 사람처럼 살며 깜마 위빠까(kamma vipaka, 업 과보)’를 받게 됩니다. 이 기간의 닙바나(열반)사우빠디세사 닙바-(saupadisesa Nibbāna, 유여열반)’라고 하며, 이때는 아직 닙바-(열반)가 완결되지 않았습니다.

 

2. ‘이 세상에 뿌리를 둔 용어 측면에서는 닙바-(Nibbāna, 열반)를 묘사하는 것(더 정확하게 말하면, 빠리닙바-나 후에 일어나는 일을 묘사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어떤 ‘(세상) 용어도 닙바-(Nibbāna)가 무엇과 같은 지를 설명하는 데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간단히 말하면, 우리는 닙바-(Nibbāna)에 관련된 어떤 데이터(정보)나 개념이나 용어를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이 세상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는 열반은 완전히 이질적이고 낯선 것이기 때문입니다.

* 하나의 투박한 비유를 들면, 열반을 설명하려고 하는 것은 물고기에게 물 밖의 삶이 어떤 것인지 설명하려고 시도하는 것과 같습니다. (물고기에게) 어떻게 물 대신에 공기로 호흡하는 것이 필요한지에 대해 설명하려고 하는 것과 같습니다. [물고기는 공기로 호흡할 수 있는 육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 또 하나의 투박한 비유는 수천년 전에서 현재로 시간여행을 한 사람에게 (처음부터) 라디오나 TV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하려고 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 사람은 라디오나 TV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충분한 데이터(정보)를 갖고 있지 못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닙바-(Nibbāna)는 그것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존재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31영역 세상으로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 쿳다까 니까야(Khuddaka Nikaya)의 우다나(Udana) 섹션에는 닙바-(Nibbāna)를 설명하는 4개의 숫따(sutta, )가 있습니다(Udana 8.1에서 8.4까지). 첫 번째는 Paṭhama nibbāna paṭisaṃyutta Sutta이며, https://legacy.suttacentral.net/pi/ud8.1 주소의 사이트에서 볼 수 있습니다.

* 위 주소의 사이트에서 숫따(sutta, )를 열고, 가장 왼쪽의 드롭 다운을 클릭하여 여러 언어 중에서 선택하여 보세요. 사이트에서는 좋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유용하다고 생각하면 기부를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필자는 위 사이트의 운영 또는 운영자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 물론, [위 주소의 사이트도] 많은 사이트과 마찬가지로 주요 빨리(pali) 용어에 대해 그 번역이 빈번히 부정확합니다. 그러나 정확한 빨리(pali)판은 볼 수 있습니다.

 

3. 첫 번째 경인 Paṭhama nibbāna paṭisaṃyutta Sutta를 보겠습니다. 빨리(pali)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앗티, 빅카웨, 따다-야따남, 얏타 네와 빠타위-, 나 아-, 나 떼조, 나 와-, 나 아---난짜-야따남, 나 윈냐-난짜-야따남, 나 아-낀짠냐-야따남, 나 네와산냐--산냐-야따남, -얌 로꼬, 나 빠라로꼬, 나 우보 짠디마수-리야-..(Atthi, bhikkhave, tadāyatanaṃ, yattha neva pathavī, na āpo, na tejo, na vāyo, na ākāsānañcāyatanaṃ, na viññāṇañcāyatanaṃ, na ākiñcaññāyatanaṃ, na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ṃ, nāyaṃ loko, na paraloko, na ubho candimasūriyā..

 

* 첫 부분인 앗티, 빅카웨, 따다-야따남(atthi, bhikkhave, tadāyatanan)’을 검토해 봅시다. 여기서, ‘앗티(atthi)’존재하다를 의미하고, ‘따다-야따나(tadāyatana)’는 닙바-(Nibbāna, 열반)의 또 다른 말입니다. ‘따다-야따나(tadāyatana)’tathāyatana를 합성해서 나온 말입니다. 여기서 따스(tath)’결점없이 완전한을 의미하고 -야따나(āyatana)’능력 또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음성학적으로 결합된 말은 따다-야따나(tadāyatana)’입니다.

* 따라서, 첫 부분의 번역은 빅쿠들이여, 닙바나(열반)(모든 것이 결점없이 완전한 곳으로) 존재한다.’입니다.

 

4. 나머지 구절은 거기에는 빠따위(pathavī, 지대), -(āpo, 수대), -(tējo, 화대), -(vāyo, 풍대) [4개를 사따라 마하--, satara mahābhūta 라고 함]가 없다. 거기에는 아---난짜-야따나(ākāsānañcāyatana, 공무변처), 윈냐-난짜-야따나viññāṇañcāyatana, 식무변처), -낀짠냐-야따나(ākiñcaññāyatana, 무소유처), 네와산냐--산냐-야따나(nevasaññānāsaññāyatana, 비상비상처)가 없다. 또한, 거기에는 이 세상(우리가 경험하는 세상)도 없고, 빨라로웨아(간답바_gandhabba가 사는 곳, ‘Hidden World of the gandhabba: Netherworld (Paralowa)’ 포스트 참조)가 없다. 그리고 달이나 태양은 거기서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입니다. 짠디마수-리야-(candimasuriya)chandra(찬드라, )’sūriya(태양, -리야)’를 합성한 말입니다.

 

* 그래서,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것(‘-_jhāna를 포함)은 위 #2에서 검토된 빠리닙바-(PariNibbāna) 이후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간단히 말해, 우리가 쓰는 의미의 용어는 거기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5. 한 때, 이교도인 왓짜곳따(Vaccagotta)아라한이 죽으면 어떻게 될까?’라는 의문으로, ‘아라한은 어디로 갑니까?’라고 붓다께 물었습니다. 상윳따 니까야(Samyutta Nikāya)의 왓짜곳따왁가(Vaccagottavagga)에 있는 일련의 숫따(sutta, )에서 문답 전체를 볼 수 있습니다.

 

* 붓다께서는 불꽃이 일어나는 불을 왓짜곳따에게 보여주면서, ‘이 불이 꺼지면, 이 불이 어디로 간다고 말할 수 있는가?’라고 물었습니다. 왓짜곳따는 이 물음의 의미를 이해했습니다. 불이 꺼지면 단지 그 불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우리 모두가 바로 답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 불의 비유와 같이, 아라한이 죽으면, 아라한은 다시 태어나지 않으므로 31영역의 어느 곳에서도 발견될 수 없습니다.

* 반면에, 쭈뚜-빠빠-다 냐-(cutūpapāda ñāna)로 신통력을 가진 자는 보통 사람이 죽은 후에 재탄생하는 곳을 볼 수 있습니다. 보통 사람의 삶의 흐름은 31영역 중에서 어떤 한 곳에 계속됩니다.

 

6. 붓다께서는 이 세상의 불만족한 특성(아닛짜_anicca 특성)을 보고 세상 것에 대한 갈망을 포기함으로써 닙바-(Nibbāna)를 얻는 방법만 단지 우리들에게 설명할 수 있었습니다.[열반을 얻거나 얻지 않는 것은 각자에게 달려 있습니다.]

 

* 붓다께서는 -각카요 닙바-, -삭카요- 닙바-, -학카요- 닙바난(Rāgakkhayo Nibbānan, dōsakkhayō Nibbānan, Mōhakkhayō Nibbānan)’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 우리 마음속의 라-(rāga, 탐함), -(dōsa, 성냄), -(Mōha, 미혹함)을 제거하여 닙바-(Nibbāna)를 얻습니다. 따라서 우리 마음을 청정하게 하는 것이 닙바나(열반)에 이르는 유일한 길입니다.

* 그러나, -따빤나(Sōtapanna, 수다원) 단계에 이를 때까지는 라-각카야(rāgakkhaya, 탐함 제거)‘를 시작하는 것조차 불가능합니다. -각카야(rāgakkhaya)는 까-마 라-(kāma rāga, 감각적 욕망)의 제거를 통해 아나-가미(Anāgami, 아나함, 불환에 자) 단계에서 부분적으로 달성되며, -빠 라-(rūpa rāga, 색계에 대한 갈망)와 아루-빠 라-(arūpa rāga, 무색계에 대한 갈망)의 제거를 통해 아라한뜨(Arahant, 아라한) 단계에서 완전히 달성됩니다. -따빤나(Sōtapanna, 수다원)는 도-(dōsa)를 빠띠가(patigha) 수준으로, -(Mōha)를 아윗짜(Avijja) 수준으로 줄였습니다. 빠띠가(patigha)는 아나-가미(Anāgāmi) 단계에서 제거되고, 아윗짜(Avijja)는 아라한뜨(Arahant) 단계에서 제거됩니다.

* 새로운 섹션인 ‘Living Dhamma(생생 담마)’ 카테고리에서, 이러한 점에 대해 언급하며, 재탄생과 같은 깊은 레벨의 개념을 언급하지 않고 기초 수준에서 시작합니다.

(계속)


Key Dhamma Concepts 2-7_Nibbāna Exists, but Not in This World.pdf


Key Dhamma Concepts 2-7_Nibbāna Exists, but Not in This World.pdf
0.07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