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e Dhamma 공부/포스트 번역

주요 담마 개념 2-5_첫 번째 성스런 진리는 괴로움만 나타내는가? (1)

빠띠고사 호잔 2018. 9. 19. 08:51

첫 번째 성스런 진리는 괴로움만 나타내는가? (1)

 

원문(첨부파일) : Key Dhamma Concepts 카테고리의 Does the First Noble Truth Describe only Suffering?’ 포스트

 

(이 사이트에서는) 링크된 것을 클릭하지 않고 포스트 전체를 우선 한 번 읽는 것이 좋습니다. 일단 주된 개념을 파악하면, 다른 관련된 주요 개념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 링크된 곳을 보는 것이 좋습니다.

 

붓다 담마(Buddha Dhamma)는 자연의 법칙을 설명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둑카 삿짜(dukkha sacca, 첫 번째 성스런 진리)모든 것은 괴로움이다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너무 늦을 때까지 사람들이 숨겨진 괴로움을 알지 못하게 하는 행복이 명백하게 많이 있습니다. 핵심은 숨겨진 둑카(dukkha, 괴로움)를 보기위해 빤냐(panna, 지혜)를 개발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비록 괴로움을 느끼는 것이 괴로움을 이해하기 위해 괴로움을 조사할 자극을 주기는 할지라도, 둑카 삿짜(dukkha sacca,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반드시 괴로움을 느낄 필요는 없습니다. 괴로움(느낌, 웨다나_vedana)과 그것의 원인을 이해하는 능력(지혜, 빤냐_panna)은 서로 다릅니다.

 

* 행복은 어디에서나 볼 수 있습니다. 모든 것이 고통스럽다면 모든 사람들은 닙바나(Nibbana)를 구할 것입니다.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사람들은 거기 밖으로 드러난 실제 괴로움을 보는 것조차 어렵습니다.

* 어떠한 괴로움이 밖으로 드러나더라도 (인간계 이상의 선처에서) 그것(진짜 괴로움)은 숨겨져 있습니다. 인간계에서는 고통과 행복이 함께 섞여 있습니다. 우리는 그 둘 다 볼 수 있습니다.

* 인간계보다 더 높은 영역에서는 괴로움은 상대적으로 훨씬 적습니다. 그러므로 데와(Deva, 천신)는 닙바나(Nibbana)에 대해 생각하기조차 어렵습니다. 그러나 데와(Deva, 천신)와 브라흐마(Brahma, 범천) 조차도 결국, 최하위 4개 영역(사악처)으로 떨어지고 고통을 받게 될 것입니다.

* 최하위 4개 영역(사악처)에 있는 유정체가 실제로 둑카(dukha, 괴로움), 즉 진짜 괴로움(고통)을 느끼는 유정체들입니다. 물론 그들은 둑카 삿짜(dukkha sacca,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에 대해 전혀 모릅니다. 소따빤나(Sotapanna, 수다원) 단계에서만 적어도 부분적으로 둑카 삿짜(dukkha sacca)(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인간 영역에서 우리는 고통과 행복을 모두 겪습니다. 깜마 위빠까(kamma vipaka, 업 과보) 때문에 어떤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행복합니다. 우리는 그때에 그것을 겪지 않을 지라도 거기에 고통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보고 검토할 수 있는 능력, 즉 조사하는데 시간을 쓸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나이가 들면서 늙음과 죽음이 필연적임을 모두 경험합니다.

 

붓다께서 담마 짝까 빠왓따나 숫따(Dhamma Cakka Pavattana Sutta, 지혜로 존재의 진정한 특성을 보는 길에 대한 경)’에서 괴로움에 대한 첫 번째 성스런 진리를 어떻게 묘사하셨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이담 코 빠나, 빅카웨, 둑캄 아리야삿짬:

자띠삐 둑카, 자라삐 둑카, 브야디삐 둑카, 마라남삐 둑캄, 압삐예히 삼빠요고 둑코, 삐예히 윕빠요고 둑코, 얌쁘잇짬 나 라바띠 땀삐 둑캄, 상킷떼나 빤쭈빠다낙칸다 둑카.

(Idam kho pana, bhikkhave, dukkham ariyasaccam:

Jati’pi dukkha, jara’pi dukkha, vyadhi’pi dukkha, maranam’pi dukkham, appiyehi sampayogo dukkho, piyehi vippayogo dukkho, yamp’iccham na labhati tam’pi dukkham, sankhittena pancupadanakkhandha dukkha.)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는 무엇인가?

 

1. 첫 번째 부분은 "자띠삐 둑카, 자라삐 둑카, 브야디삐 둑카, 마라남삐 둑카.....(jathi pi dukkha, jara pi dukkha, vyadhi'pi dukkha, maranan pi dukkha.....)"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부분을 태어남은 괴로움이고, 늙음은 괴로움이며, 질병은 괴로움이고, 죽음은 괴로움이며.....’로 잘못 해석합니다.

 

* 아기가 가족으로 태어날 때 우리가 괴로움을 겪습니까?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들의) 태어남을 축하하지 않으며 생일을 축하하지도 않습니까? 그러므로 자띠삐 둑카(jathi pi dukkha)’를 문자 그대로 태어남은 괴로움이다로 해석하는 것은 바르지 않습니다.

* 사람 A가 늙거나 아플 때 또는 죽으면, A의 친구 및 가족에게는 고통을 주지만 A의 적에게는 행복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러한 문자적 ​​해석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 잊지 말아야 할 또 다른 중요한 것은 (전해지는) 숫따(sutta, )(붓다의 법문을) 간결하게 한 것이며, 쉽게 암송하고 전승할 수 있도록 공식화된 것입니다. 수 시간 동안 설해진 숫따(sutta, )가 단 몇 페이지의 텍스트로 압축된 것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Sutta - Introduction’ 포스트를 보세요.

 

2. ‘Jathi pi dukkhajathi api dukkha구절이 짧아진 것입니다. 다른 두 개 jara pi dukkha, maranan pi dukkha는 접미사 pi 를 갖습니다. 인내심을 갖고 경문을 주의깊게 읽을 필요가 있습니다.

 

빨리어 pi 또는 싱할라어 priya좋아하다(like)’는 뜻이고, 빨리어 api 또는 싱할라어 apriya좋아하지 않다(dislike)'는 뜻입니다. 따라서, ‘자띠 아삐 둑카(jathi api dukkha)’좋아하지 않는 무언가의 태어남은 괴로움을 일으킨다를 의미합니다. ‘자라 삐 둑카(jara pi dukkha)좋아하는 무언가의 쇠퇴는 괴로움을 일으킨다를 의미하고, '마라남 삐 둑카(maranan pi dukkha)'좋아하는 무언가의 죽음은 괴로움을 일으킨다를 의미합니다. 각 경우를 살펴보고 어느 용어를 사용하는지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아래 #5를 보십시오.

 

* 다음과 같은 반대 경우들도 사실입니다. , ‘좋아하는 무언가의 태어남은 행복을 가져온다’, ‘좋아하지 않는 무언가의 쇠퇴는 행복을 가져온다’, ‘좋아하지 않는 무언가의 죽음은 행복을 가져온다는 것입니다. 어떤 예도 생각해 볼 수도 있고, 이것은 항상 사실입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적들의 재산 피해에 관한 소식은 행복을 가져옵니다.

 

* 전쟁 중에, 적군이 생명을 잃는 것에 대해서는 행복해 하지만, 아군이 죽는 것에 대해서는 안타까워하고 비통해 합니다.

 

3. 붓다께서는 다음 구절에서 pi api 를 더 분명히 하셨는데, ‘piyehi vippayogo dukkho, appiyehi sampayogo dukkho사랑하는 사람이 떠나야 할 때 괴로움(또는 슬픔)을 가져오고, 미워하는 사람과 함께 있어야 할 때도 괴로움(또는 슬픔)을 가져온다는 뜻입니다( ‘piyapi 와 같은 의미고, ‘apiyaapi 와 같은 의미입니다.). 우리 모두는 이 첫 편()의 진실을 압니다. 한 사람이 비행기 추락 사고로 죽으면, 가족에게는 커다란 고통을 안겨주고, 먼 친척에게는 고통이 덜하고, 단순히 그를 아는 사람들에게는 고통이 훨씬 적으며, 그와 관련이 없는 다른 나라의 누군가에게는 그것은 단지 어떤 뉴스일 뿐입니다.

 

* 물론 그 반대도 마찬가지로 사실입니다. 미워하는 사람이 떠나야 할 때 행복을 가져오고,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할 때도 행복을 가져옵니다.

 

4. 그런 다음, “얌쁘잇짬 나 라바띠 땀삐 둑캄(yamp'iccham na labhati tam'pi dukkham)”이 옵니다. 여기서, 우리는 아닛짜(anicca), 둑카(dukka), 아낫따(anatta) 및 빠띳짜 사뭅빠다(paticca samuppada, ‘pati + ichchasama + uppada’)에서 만난 잇짜(ichcha)’를 봅니다. 그리고, ‘라바띠(labhati)’얻음을 의미하고, ‘나 라바띠(na labhati)’얻지 못함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좋아하는 것을 얻지 못한다면, 고통에 이르게 된다입니다.

 

* 다시 말하면, 그 반대도 사실입니다. 좋아하는 것을 얻으면, 행복에 이르게 됩니다.

(계속)


Key Dhamma Concepts 2-5_Does the First Noble Truth Describe only Suffering.pdf


Key Dhamma Concepts 2-5_Does the First Noble Truth Describe only Suffering.pdf
0.06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