닙바나를 달성하는 네 단계(1)
원본(첨부파일) : Key Dhamma Concepts 카테고리의 ‘The Four Stages in Attaining Nibbāna’ 포스트
- February 4, 2016; October 25, 2017 업데이트
1. ‘31 Realms Associated with the Earth’ 포스트에서 검토된 31영역 세상은 유정체의 감각 기관과 유정체가 괴로움을 겪는 정도에 따라 크게 세 범주로 나뉩니다.
* 가장 낮은 곳에서 시작하여 11개 영역은 까-마 로-까(kāma lōka, 욕계)에 속하며, 이 영역의 유정체에게는 다섯 가지 육체적 감각 기관이 모두 나타납니다. 까-마(kāma)는 다섯 가지 감각 기관을 통해 감각적 대상에 탐닉한다는 의미입니다.
* 그 다음 16개 영역에 있는 유정체는 시각과 청각이라는 두 가지 육체적 감각기관만 가집니다. 그들은 욕계의 유정체보다 조밀도가 낮은 몸을 가지며, 이 범주의 영역을 루-빠 로-까(rūpa lōka, 색계)라고 합니다. 루-빠 로-까(rūpa lōka)에는 인간이 달성할 수 있는 처음 4가지 유형의 세간 선정(자-나, jhāna)에 해당하는 선정 즐거움을 주로 누릴 수 있습니다. 루-빠 로-까(rūpa lōka)에는 상대적으로 괴로움이 적습니다.
* 가장 높은 4개의 영역은 인간이 또한 달성할 수 있는 보다 높은 아루-빠 자-나(arūpa jhāna) 상태(선정 수준 5~8)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 영역에는 더 없는 선정 행복이 주로 하며 상대적으로 괴로움이 적습니다. 이 범주의 영역은 일반적으로 아루-빠 로-까(arūpa lōka, 무색계)로 알려져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 영역의 유정체는 육체적 감각기관이 없고 오직 마음만 있는 매우 미세한 몸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2. 루-빠 로-까(rūpa lōka, 색계)에 있는 유정체의 수명은 매우 길며 아루-빠 로-까(arūpa lōka, 무색계)에 있는 유정체의 수명은 훨씬 더 깁니다. 아루-빠 로-까(arūpa lōka, 무색계)에서 가장 높은 영역의 수명은 너무나 긴 84000 마하-깔빠(대겁)이며, 이 수명은 우리들이 상상조차 할 수 없는 긴 수명입니다.
* 이 때문에 고대 요-기(yōgi, 수도자)들은 그러한 영역이 닙바나(Nibbāna, 열반)에 해당한다고 잘못 생각하였습니다. 그러나 금욕 수행자가 되기 위해 궁전을 떠난 지 몇 달 만에 제8선정(jhāna, 자-나)까지 얻은 붓다(그 때 당시에는 보디삿트와인 싯다라따 고-따마)께서는 이 선정에 의한 영역도 또한 일시적으로 머무르게 되어있는 존재의 영역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즉, 이 제8선정의 성취에 의한 영역도 영구적인 행복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또한 이 (영역의) 긴 시간조차도 무한한 윤회의 시간 스케일(‘Samsāric Time Scale, Buddhist Cosmology, and the Big Bang Theory’ 포스트 참조)에서는 무의미합니다(‘Infinity – How Big Is It?’ 포스트 참조).
3. 인간 영역에서는 사마타(samatha) 명상을 통해 그러한 선정(jhānic) 상태에 도달함으로써 루-빠 로-까(rūpa lōka, 색계 세상)와 아루-빠 로-까(arūpa lōka, 무색계 세상)의 선정(jhānic)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다.
* 더구나, 해당하는 선정을 개발하고 선정 상태에서 죽게 되면, 루-빠 로-까(rūpa lōka, 색계 세상)나 아루-빠 로-까(arūpa lōka, 무색계 세상)에 태어나는 것이 가능합니다. 제가 알기로는 이것이 대부분 힌두 수행의 목표입니다.
4. 붓다께서 지적하신 것은 가장 높은 선정 상태조차도 길기는 하지만 일시적이며, 그 업력이 소진되면 31영역 세상 중 어느 곳에나 태어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사실 적어도 소-따빤나(Sōtapanna, 수다원) 단계에 이르지 않았다면, 미래의 어느 시점에서 가장 낮은 영역(사악처) 중 한 곳에 재탄생하는 것은 피할 수 없이 확실합니다.
* 붓다께서는 여전히 재탄생 과정(samsāra, 윤회)에 있는 많은 유정체, 즉 우리 모두는 과거에 가장 낮은 영역(niraya, 사악처)뿐만 아니라 높은 아루-빠 로-까(arūpa lōka, 무색계)에 태어났을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만큼 삼사-라(samsāra, 윤회)는 깁니다.
5. 검토한 바와 같이, 실제로 괴로움은 대부분 까-마 로-까(kāma lōka, 욕계)에 있음이 분명합니다. 그러나 문제는 유정체가 시작 없는 삼사-라(samsāra, 윤회) 여정 중에 까-마 로-까(kāma lōka, 욕계)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는 것입니다.
* 붓다께서는 이 상황을 묘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비유를 하셨습니다. 우리는 집을 떠나 짧은 여행을 하거나 좀 긴 여행을 하기는 하지만, 항상 집으로 돌아옵니다. 붓다께서는 4개의 가장 낮은 영역(apāya, 아빠-야, 사악처)이 대부분 유정체의 본집(본거지)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욕계의 괴로움>
1. 까-마 로-까(kāma lōka, 욕계)의 괴로움은 가장 낮은 영역(니라야_niraya, 지옥계)의 헤아릴 수 없는 괴로움부터 데-와 로-까(dēva lōka, 천신계)의 비교적 적은 괴로움과 가장 높은 감각적 즐거움까지 다양합니다. 데-와 로-까(dēva lōka, 천신계)는 까-마 로-까(kāma lōka, 욕계)의 가장 높은 6개 영역입니다.
* 데-와 로-까(dēva lōka, 천신계) 바로 아래에는 괴로움과 감각적 즐거움이 서로 거의 동일한 비율인 인간 영역이 있습니다.
* 인간 영역 아래에는 쁘레따 로-까(preta lōka, 아귀계), 아수라(asura)계, 축생계(animal realm), 니라야(niraya)계가 있으며, 괴로움의 정도는 일반적으로 그 순서대로 증가합니다.
2. 까-마 로-카(kāma lōka, 욕계)의 가장 낮은 4개 레벨은 합쳐서 아빠-야(apāya, 악처)라고 불립니다. 유정체의 99 % 이상 대부분이 이 네 영역에 갇혀 있습니다. 문제는 그러한 네 영역 중 어느 영역에 한 번 태어나면 빠져 나오기가 실제로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 왜냐하면 이러한 영역에 있는 유정체는 바로 그 성품이 아뿐나-비 상카-라(apunnābhi sankhāra) 또는 악행(‘sankhāra, Kamma, Kamma Beeja, Kamma Vipaka’ 포스트 참조)을 하게끔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동물 영역에서 대부분 동물은 살아가기 위해 다른 동물을 죽여야 합니다. 니라야(niraya, 지옥)에서는 끊임없는 고통 때문에 싫어하는 생각만 일어납니다.
* 하지만, 아비담마(Abhidhamma)를 검토해 볼 때, 동물들의 찟따(javana citta)의 강도가 훨씬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물들의 그러한 행의 업력은 사람에 의한 행의 업력에 비해 훨씬 적습니다. 이것은 언젠가 언급해 보고 싶은 중요한 점입니다.
3. 우리는 과거에 높은 루-빠 로-까(rūpa lōka)에 태어난 적이 있음직한 것과 같이, 우리 모두는 아빠-야(apāya, 악처)에 있었다는 것이 훨씬 더 확실합니다. 요행히도 우리는 그 과거의 삶을 기억하지 못합니다.
* 그러나 특정 영역(특히, 쁘레따_아귀 영역)의 유정체는 과거의 삶을 상기하고 더욱 괴로워합니다.
<왜 우리가 지금 바로 노력해야 하는가>
1.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대부분의 괴로움은 다섯 번째 영역인 인간 영역 아래 4개의 가장 낮은 영역에 있음이 분명합니다. 기본적으로 까-마 로-카(kāma lōka, 욕계)중 가장 높은 영역인 데-와 로-까(dēva lōka, 천신계)로 시작하는 인간 영역 위에서는 비교적 괴로움이 적습니다.
2. 낮은 네 영역에서 괴로움이 가장 높다 하더라도, 그곳의 유정체들은 괴로움을 경감시키기 위해 어떤 것도 할 수 없습니다. 그들의 제한된 마음은 괴로움을 가져오는 원인을 파악할 수 없습니다.
* 많은 사람들은 그것(괴로움)을 이해하고 닙바-나(Nibbāna, 열반)를 추구하는 자극을 얻기 위해 고통을 느껴야한다고 잘못 생각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고통스러울 때(말하자면, 너무 오래 괴로움을 겪을 때) 심오한 담마 개념을 분명하게 숙고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는 느낌(vēdana, 웨-다나)을 통해서가 아니라, 완벽한 세계관과 이 ‘더 넓은 세상(31영역)’의 세 가지 특성(아닛짜_anicca, 둑카_dukkha, 아낫따_anatta)을 지혜(paññā, 빤냐-)로 이해하여 볼 필요가 있습니다. 세 가지 특성에 대해서는 ‘Anicca, Dukkha, Anatta’를 보세요.
3. 인간 영역보다 위쪽 영역에 있는 유정체들, 즉 데-와(dēva, 천신) 영역에서 시작되는 26개 영역에서는 많은 고통을 느끼지도 않습니다. 이 영역은 (사악처와는) 다른 극단입니다. 이 영역에서는 괴로움에 대해 염려하지 않으므로 (해탈하기 위한) 자극이 생기지 않습니다.
* (이 다른 극단의 영역에서) 진정으로 괴로움을 느끼는 유일한 경우는 그들 수명의 끝에 달했을 때 그것(수명이 다했다는 것)을 깨닫고 혼란에 빠지게 되는 경우뿐입니다.
4. 그러므로 많은 괴로움을 겪지 않으면서도 괴로움에 노출되어 있는 곳은 오직 인간 영역입니다. 또한, 사람(인간)의 마음은 ‘이 31영역 세상’의 진정한 본질, 즉 세가지 특성인 아닛짜(Anicca)와 둑카(Dukkha) 및 아낫따(Anatta)를 파악하는 데 가장 적합합니다. (‘Anicca, Dukkha, Anatta’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그래서 붓다께서는 닙바-나(Nibbāna, 열반)를 얻을 수 있는 이 절호의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고 사람들에게 말씀하셨습니다.
(계속)
Key Dhamma Concepts 2-2_The Four Stages in Attaining Nibbāna.pdf
'Pure Dhamma 공부 > 포스트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 담마 개념 2-2_닙바나를 달성하는 네 단계(2) (0) | 2018.09.16 |
---|---|
주요 담마 개념 1-5_상카-라와 깜마, 윈냐-나와 깜마 삐-자(1) (0) | 2018.09.16 |
주요 담마 개념 2-1_닙바나는 이해하기 어려운가? (2) (0) | 2018.09.10 |
주요 담마 개념 2-1_닙바나는 이해하기 어려운가? (1) (0) | 2018.09.08 |
주요 담마 개념 1-5_상카-라와 깜마, 윈냐-나와 깜마 삐-자(2) (0) | 2018.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