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생활 - 재가생활
주인과 다르게 불교를 믿고 구구단을 기억하는 개
빠띠고사 호잔
2022. 6. 24. 06:54
주인과 다르게 불교를 믿고 구구단을 기억하는 개
주인은 일요일에 교회에 가지만 같이 가다가 주인과 떨어져 절에 가고 구구단을 기억하는 개가 있습니다.
원숭이에 버금가는 뇌 성능(일반적 지능 개념)을 지닌 것으로 보이지만,
이 개도 악처로 연결되는 ‘해로운 과보의 아헤뚜까’ 탄생인 ‘개 바와’를 기본으로 하므로, 두헤뚜까/띠헤뚜까 탄생으로 담마를 이해할 수 있는 바와는 아닙니다(도과성취는 띠헤뚜까만 가능).
(여기서 뇌 성능의 지능은 아헤뚜까/두헤뚜까/띠헤뚜까 탄생으로 구분되는 바와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개와는 확실하게 다른 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런 현상은 육체적 몸과 정신적 몸이 함께 하는 동물과 인간에게만 적용되는 간답바의 개념을 통해서만 설명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로,
악처/사악처(동물계 포함)에 탄생하는 것은 ‘선뿌리 없는 해로운 과보의 아헤뚜까’ 탄생이고,
선처(인간계 이상)에 탄생하는 것은 ‘선뿌리 없는 유익한 과보의 아헤뚜까’, ‘선뿌리 있는 유익한 과보의 두헤뚜까 및 띠헤뚜까’ 탄생입니다.
아헤뚜까 탄생은 담마를 이해할 수 없는 바와이고, 두헤뚜까 탄생은 담마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지만 도과 및 자나 성취는 불가능한 바와이며, 띠헤뚜까 탄생은 담마를 이해할 수 있으며 도과 및 자나 성취가 가능한 바와입니다.
불선뿌리는 로바/도사/모하 3가지이고, 선뿌리는 아로바/아도사/아모하 3가지입니다.
아모하는 심소가 아니며, 심소인 빤냐와는 다른 개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