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유정체 사이의 의사소통에 대해
각 유정체 사이의 의사소통에 대해
세상의 각 유정체는 어떻게 서로 의사소통을 하며, 의사소통이 가능할까?
이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우선 다음과 같이 세상과 유정체에 대해 기본적인 용어 및 그 정의를 알 필요가 있다.
세상은 물질 세계(숫닷타까 레벨 위로서, 빠따위/지 다투, 아뽀/수 다투, 떼조/화 다투, 와요/풍 다투, 아까사/공간 다투)와 비물질 세계(숫닷타까 레벨 아래로, ‘윈냐나 다투’)로 이루어진다.
세상은 나마(정신)과 루빠(물질)로 두가지로 이루진다라고도 하고, 유정체를 기준으로 세상은 욕계와 색계와 무색계로 나누어진다라고도 하며, 궁극요소를 기준으로 세상은 찟따와 쩨따시까와 루빠로 이루어진다라고도 한다.
또한, 유정체는 정신적 몸으로 이루어지거나, 정신적 몸 및 물질적 몸으로 이루어진다.
정신적 몸과 물질적 몸, 및 이 몸으로 이루어지는 유정체는 물질 세계(루빠 로까)에 속한다.
물질 세계(루빠 로까)에 속하는 유정체는 아래에서 언급한 하다야 왓투를 통해 직접 비물질 세계(나마 로까)와 신호교환을 하거나, 하다야 왓투에서 마나 인드리야(물질적 몸에 속함)를 거쳐 비물질 세계와 신호교환을 한다.
아래에서 물질적 몸에 갇힌(통합된) 간답바는 하다야 왓투에서 마나 인드리야를 통해서만 비물질 세계(나마 로까)와 신호교환을 할 수 있으므로, 뇌에 있는 마나 인드리야가 손상/파손되면 기억 등을 하지 못하게 된다( ‘붓다 담마’ 섹션의 ‘뇌와 간답바’ 관련 부분 참조).
마노마야 까야는 정신적 몸을 말하며 물질적 몸과는 다르고, 특별히 인간과 동물의 정신적 몸을 간답바라고 한다.
정신적 몸(마노마야 까야 또는 간답바)은 ‘하다야 왓투’와 최대 5가지의 ‘빠사다 루빠’를 가진다.
물질적 몸은 최대 6가지의 인드리야(감각기관)를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말하는 눈(짝꾸 인드리야), 귀(소따 인드리야), 코(가나 인드리야), 혀(지와 인드리야), 몸/신체(까야 인드리야)과 뇌에 있는 ‘마나 인드리야’를 가진다.
(인간을 기준으로 유정체를 설명한 그림, https://cafe.naver.com/puredhamma/1831 or https://blog.naver.com/hojanyun/222722347631 참조)
참고로, ‘인드리야’와 ‘아야따나’는 다른 의미인데, 인드리야는 단순히 감각기능/감각기관을 말하며, 아야따나는 이런 인드리야를 사용하여 ‘아비상카-라’를 생성하여 ‘깜마(업)/깜마비자(업씨앗)’를 형성할 때의 용어로 쓰인다.
이하에서, 3가지로 나누어 각 유정체 사이의 의사소통에 대해 알아보자.
(욕계의 인간 또는 천신이 자-나를 통해 신통력을 발휘하는 경우를 제외한 일반적/정상적 경우의 의사소통에 한정)
1. 물질적 몸에 갇힌 간답바(인간/동물)와 물질적 몸에 갇힌 간답바(인간/동물) 사이의 의사소통
- 인간과 인간 : 둘다 물질적 몸을 통해서만 의사소통하며, 대상에 대한 개념 공유에 따라 의사소통 가능.
- 인간과 동물 : 둘다 물질적 몸을 통해서만 의사소통하며, 대상에 대한 개념 공유와 인드리야의 유형에 따라 의사소통 가능.
- 동물과 동물 : 둘다 물질적 몸을 통해서만 의사소통하며, 대상에 대한 개념 공유와 인드리야의 유형에 따라 의사소통 가능.
2. 물질적 몸에 갇힌 간답바(인간/동물)와 물질적 몸에 갇히지 않은 간답바(인간 간답바/동물 간답바) 사이의 의사소통
- 인간과 ‘인간 간답바’ : 인간 간답바는 인간을 인식할 수 있지만, 인간은 인간 간답바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의사소통 불가.
- 인간과 ‘동물 간답바’ : 동물 간답바는 인간을 인식할 수 있지만, 인간은 동물 간답바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의사소통 불가.
- 동물과 ‘동물 간답바’ : 동물 간답바는 동물을 인식할 수 있지만, 동물은 동물 간답바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의사소통 불가.
- 동물과 ‘인간 간답바’ : 인간 간답바는 동물을 인식할 수 있지만, 동물은 인간 간답바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의사소통 불가.
3. 마노마야 까야(‘인간 간답바’ 및 ‘동물 간답바’ 포함)와 마노마야 까야(‘인간 간답바’ 및 ‘동물 간답바’ 포함) 사이의 의사소통
- 욕계 마노마야 까야와 욕계 마노마야 까야 : 대상에 대한 개념 공유에 따라 의사소통 가능.
- 욕계 마노마야 까야와 색계 마노마야 까야 : 색계 마노마야 까야는 욕계 마노마야 까야를 인식할 수 있지만, 욕계 마노마야 까야는 색계 마노마야 까야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의사소통 불가.
- 욕계 마노마야 까야와 무색계 마노마야 까야 : 욕계 마노마야 까야는 무색계 마노마야 까야를 인식할 수 없고, 무색계 마노마야 까야도 욕계 마노마야 까야의 루빠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의사소통 불가.
- 색계 마노마야 까야와 색계 마노마야 까야 : 대상에 대한 개념 공유에 따라 의사소통 가능.
- 색계 마노마야 까야와 무색계 마노마야 까야 : 색계 마노마야 까야는 무색계 마노마야 까야를 인식할 수 없고, 무색계 마노마야 까야도 색계 마노마야 까야의 루빠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의사소통 불가.
- 무색계 마노마야 까야와 무색계 마노마야 까야 : 마노마야 까야의 루빠를 서로 인식할 수 없으므로 의사소통 불가.